Exercise 8.2: Create a Persistent NFS Volume (PV)
NFS로 SSH 접속
ssh root@NFS_IP_ADDRESS
NFS 서버 설치
sudo apt update && sudo apt install -y nfs-kernel-server
공유할 디렉토리 및 파일 생성
{ sudo mkdir /data sudo chmod 1777 /data/ sudo bash -c 'echo world > /data/hello.txt' }
NFS 설정 파일에 위에서 생성한 디렉토리 추가
sudo echo '/data/ *(rw,sync,no_root_squash,subtree_check)' \ | sudo tee -a /etc/exports > /dev/null
수정한 NFS 설정 파일 반영
sudo exportfs -ra
CP 노드에 연결된 터미널로 이동
NFS 유틸리티 설치
sudo apt -y install nfs-common
/etc/hosts
파일에 아래와 같은 라인 추가 - NFS_IP_ADDRESS는 NFS 노드 IP주소NFS_IP_ADDRESS mynfs
예를들어 NFS의 IP주소가 123.45.67.89라면 아래처럼 입력
123.45.67.89 mynfs
NFS 노드에 구성한 NFS서버가 보이는지 확인
showmount -e mynfs
NFS 노드에서 공유한 디렉토리를 CP 노드 파일시스템에 마운트
sudo mount mynfs:/data /mnt
파일이 보이는지 확인
{ ls -l /mnt cat /mnt/hello.txt }
PersistentVolume 생성
cat <<EOF | kubectl create -f - apiVersion: v1 kind: PersistentVolume metadata: name: nfs spec: capacity: storage: 1Gi accessModes: - ReadWriteMany persistentVolumeReclaimPolicy: Retain nfs: path: /data server: mynfs readOnly: false EOF
생성된 PersistentVolume 확인
kubectl get pv nfs
Last updated